[여행인문학] 삶의 새로움을 위한 여행인문학
삶의 새로움을 위한 여행인문학(문요한 강사) "여행하는 인간"
2017. 10. 25.(수) "여행하는 인간" 저자 문요한 작가의
저자특강을 듣고 느낀 점을 기록합니다.
○ 떠나야 만날 수 있는 것, 여행. 치유
- 시간오염, mind wondering: 마음이 자꾸 딴 곳에 가 있는 현상
- 주의 집중력 시간이 짧아짐
- 휴식이 필요함: 연속됨 업무, 시간소모/휴식을 취하지 못함
○ 인간 본성 권태, 질투
- 권태, 지루함: 일탈을 꿈꾸게 됨
- 질투: 비교, 카인(방랑자, 결과물을 얻지 못하게 됨)의 후예인가?
- 대이동의 역사/호모 사피엔스
* 여행유전자: DRD4 7R(유럽인 20%, 남미 최고, 아프리카 최저)
○ Dophmin, Endorphin, Oxytocin, Serotonic
- 사점(Dead point), runner’s High: Endorphin 분비
- 엔도르핀은 고강도운동(고통) 후에 생성되는 물질
- 매운맛의 음식, 자해 등 신경계통이 발달한 경우 Endorphin 분비가 많음
- 연결감: Oxytocin(주변인과 친밀감, 스킨십, 친교의 호르몬),
Serotonin(나와 자연의 일치감, 동식물, 주말농장 등)
- 등산 후 아름다운 경치를 느끼는 것 역시 고생 후 행복감을 느끼는 것.
만약 헬기를 타거나 자동차를 이용해서 아름다운 경치를 만났을 때는 행복감이 높지 않을 것!
○ Cabin Fever, 이동이 억압된 사회
- 동물원 내 동물은 자해, 상동행동을 함
- 오늘날 틱 장애가 있거나 자해행동을 하는 학생이 늘어나고 있음
- 생태도시가 되어야 함
○ 기쁠 喜, 즐거울 樂
- 즐거움(樂): 동물적 감정, 순수한 쾌감, 더 강하고 새로운 것을 희망하게 됨⇒ 중독
- 기쁨(喜): 인간적 감정, 불쾌감과 쾌감이 섞인 상태,
불쾌감 후 쾌감을 느끼는 상태, 불쾌감이 반드시 필요함, 불행 속에서 행복을 발견함.
- 사서 고생하는 인간, 도전하는 인간
- 일시적 쾌락(樂) vs 지속적 만족(喜)
○ 살아있다는 느낌
- 걸을 때 발걸음을 ‘의식’ ⇒ 보행속도조절 ⇒ 여행 후 ‘삶의 속도’ 조절
- 여행인문학: 이 순간에 머물러 있어야 함
○ Bodyfulness ⇒ Mindfulness ⇒ Lifefulness
- Bodyfulness: 몸챙김(소마상태) / 내 몸을 의식, 요가/명상
- Mindfulness: 마음챙김
- Lifefulness: 삶 챙김(충만감)
- 소마상태로 존재하는 시간이 늘어나야 마음 챙김, 삶 챙김으로 연결될 수 있음
- 소마상태로 존재하기 위하여 치유걷기(2시간 30분~3시간, 4단계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음.
저자 자신도 자주 걸으려고 함.
1시간 걷기를 하면 내내 발걸음을 의식할 수 없지만,
단 5분이라도 발걸음을 의식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
○ 자유로움
- 일상의 책임, 의무로부터 자유
-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
- 자신으로부터 자유: 자기의 기준, 틀에서 벗어날 수 있는 시간
○ 배낭여행자는 용기, 자신감을 얻게 됨
- 용기: Bravery vs Courage
- Bravery: 선천적 용기, 용맹이라 부름
- Courage: 후천적 용기, 기를 수 있는 용기
- 두려움의 대상을 직시 ⇒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 ⇒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용기!
- 여행은 ‘용기’를 기르는 학교!
○ 공간이 바뀌면 생각이 바뀐다.
- 아시시(ITALY), 성프란치스코성당, 시간의 두께가 있는 곳
- Jonas Salk박사, 소아마비 백신 발명
- Salk 연구소(미국 LA), 12명의 노벨상 수상자 배출
- 층고가 높은 공간에서 창의력이 많이 샘솟음
- 7m 층고의 구글, 너무 높다는 의견, 3m 적정한 층고!
↔ 낮은 층고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됨
- 자주 가는 카페가 아닌 새로운 카페에 가보자!
○ Negative Capability
- 막막하다!
- 불확실함, 모호함에서도 편안함을 느끼는 능력
- 완벽주의자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확실해 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일을 함.
그러다 보면 오늘날 사회에서는 도태될 수밖에 없음
- 일단 시작하고, 시행착오를 경험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워야 하는 시대
- 임기응변 능력
- 불확실한 상황 속에 들어가야 배울 수 있음
- 불확실한 상황 속에 들어가는 행위가 여행이 제격임
- 맥가이버의 문제해결능력, 주어진 도구만 가지고 문제를 해결해 냄!
○ 비움을 배우는 학교
- 배낭여행객은 13kg 이내로 배낭무게를 줄이고자 함
- 그러기 위해서 매일 수십 번씩 자문하게 됨 ‘이게 나에게 꼭 필요한가?’
- 삶에 확장되면 삶의 가지치기가 가능함
- ‘이 모임이 내게 꼭 필요한가?’,
‘이 사람 경조사에 내가 반드시 가야한가?’ 등
삶의 가지치기 실천을 통하여 삶에서 여유를 찾을 수 있음
○ 무엇이 좋은 여행인가?
- 여행과 일상이 풍성해지는 여행
- 여행의 즐거움과 기쁨이 일상으로 확대되는 여행
- 기쁨을 느끼는 여행
○ 삶 속에서 깨어 있는 몸, 소마상태를 경험
- 삶 속에서 소마상태(bodyfulness)를 유지하고자 실천하는
사람의 건강상태가 훨씬 더 좋다는 연구결과가 있음
- 감각에 집중할 수 있는 깨어있는 몸 상태를 유지!
- 새로운 시도(일상 생활 속 여행자의 마음을 갖기)를 자주 하자!
- 치유걷기!
○ 자유(Liberty vs Freedom)
- Liberty: 구속에서 벗어나는 자유
- Freedom: 원하는 것(요구, 가치)을 쟁취하여 얻은 자유
- Liberty보다 Freedom!!
○ 치유걷기
- 발의 움직임을 느끼려고 함
- 의식, 몸을 자각하는 훈련
- 몸을 자각/ 듣기, 말하기 명상(1분만이라도 듣기에만 집중하자!, 1분만이라도 통화에만 집중하자!)
- 자각, 교감, 자기자신 돌보는 시간, 활력으로 걷기 등 4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2시간 30분~3시간 소요)
- 깊이 있는 체험의 중요성: 습관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적으로 하는 것!
- 일상에서 깊이 있는 경험을 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