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고...생각하는...

Trauma Protocol(외상 프로토콜)

예박이아빠 2025. 4. 10. 05:39

Trauma Protocol(외상 프로토콜)은
응급환자, 특히 중증 외상 환자가 병원에 도착했을 때
의료진이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진단과 처치를 진행하기 위해 정해놓은 표준 절차입니다.

말 그대로, "외상 상황에서 어떻게 움직일지 정해진 약속된 단계"입니다.

 


Trauma Protocol의 목적:

 

생명을 위협하는 손상을 빠르게 인지하고 즉시 대응

여러 부위에 외상을 입은 환자를 다학제적으로 진료

과잉 진료는 줄이고, 필요한 진료는 빠르게 연결

중증도에 따라 치료 우선순위 설정


일반적인 구성 단계 (ATLS 기준 예시):

 

1차 평가 (Primary Survey)

 

A: Airway (기도 확보 + 경추 보호)

B: Breathing (호흡 상태 확인)

C: Circulation (순환 및 출혈 여부)

D: Disability (의식 상태 – GCS 확인)

E: Exposure (전신 노출하여 손상 확인)

응급 처치

기도 삽관, 지혈, 흉관 삽입, 수액 투여 등 즉각 조치

 

 

2차 평가 (Secondary Survey)

 

전신을 다시 한 번 정밀하게 평가

 

병력 청취 (SAMPLE), 두부~사지까지 전반적 체크

영상 및 진단

X-ray, FAST 초음파, CT 등 필수 영상진단 실시

치료 및 전원 결정

응급수술, 중환자실 이송, 타 병원 전원 등


병원에서 Trauma Protocol이 중요한 이유:

 

의료진 간 혼선 없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기 위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특히 Trauma Center(외상센터)에서는

이 프로토콜에 따라 팀이 자동으로 구성되어 움직입니다.

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 등

다학제팀이 동시 진입하는 경우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