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고...생각하는...
밸류체인(Value Chain)
예박이아빠
2025. 4. 21. 21:33
밸류체인(Value Chain)이란,
제품이나 서비스가 고객에게 도달하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활동의 연결 구조를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1985년 하버드대학교의
마이클 포터(Michael E. Porter) 교수가
경영전략 이론으로 제시한 것입니다.
기업은 단순히 제품을 제조하는 것을 넘어서,
기획 → 생산 → 유통 → 마케팅 → 애프터서비스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가치를 창출하며 경쟁우위를 확보합니다.
이 일련의 활동을
'가치사슬(value chain)' 이라고 부릅니다.
밸류체인의 구성 요소
밸류체인은 기본 활동(Primary Activities)과
지원 활동(Support Activities)으로 나뉩니다.
1. 기본 활동 (Primary Activities)
구분 | 설명 |
내부물류 (Inbound Logistics) | 원자재 입고, 저장, 재고 관리 등 |
운영 (Operations) | 제품 또는 서비스 생산 과정 |
외부물류 (Outbound Logistics) | 완제품 보관, 배송, 유통 |
마케팅 및 판매 (Marketing & Sales) | 고객 유치, 광고, 가격 전략 등 |
서비스 (Service) | 고객 지원, 유지보수, A/S 등 |
2. 지원 활동 (Support Activities)
구분 | 설명 |
기업 인프라 (Firm Infrastructure) | 경영 전략, 재무, 법무 등 조직 운영 기반 |
인적자원 관리 (HR Management) | 채용, 교육, 평가, 인재 육성 |
기술개발 (Technology Development) | R&D, 정보시스템, 자동화 등 |
조달 (Procurement) | 장비, 원재료, 외부 서비스 구매 등 |
밸류체인의 핵심 의미
부가가치 중심:
각 단계에서 얼마나 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가 핵심
경쟁우위 확보:
밸류체인을 효율화하면
원가를 절감하거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전략적 분석 도구:
어떤 단계에서 효율을 개선하거나
혁신이 가능한지를 파악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