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고...생각하는...
고수온
예박이아빠
2025. 6. 26. 20:37
고수온이란,
해수 온도가 해양생물이 견딜 수 있는
한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한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양식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수준의 수온을 기준으로 합니다.
고수온 기준 (국가 기준 중심)
1. 기온별 구분 기준
고수온 경보 발령 기준:
25°C 이상의 수온이 3일 이상 지속되며,
양식생물 피해 우려가 있는 경우
2. 지역별 차등 기준
해수 온도는 지역 및 양식 품종에 따라
피해 발생 기준이 다릅니다.
구분 | 고수온 기준 수온(예시) | 피해 주요 어종 |
남해 | 약 28~29°C 이상 | 넙치, 전복, 조피볼락 |
동해 | 약 26~27°C 이상 | 가리비, 문어 등 |
서해 | 약 25~26°C 이상 | 바지락, 넙치 등 |
※ 각 어종별로 내열 수온 한계가 다르기 때문에,
해양수산부는 품종별 고수온 피해 대응 매뉴얼도 따로 운영합니다.
고수온 단계 (해양수산부 발표 기준)
단계 | 기준 | 주요 조치 |
주의보 | 수온 28°C 전후 도달 | 양식장 예찰 강화, 수온 감시체계 가동 |
경보 | 수온 28~30°C 이상 지속 | 긴급 대응, 산소 공급, 먹이량 조절, 출하 유도 |
왜 고수온이 문제인가?
용존산소 감소
→ 호흡 곤란
병원균 번식 증가
→ 질병 확산
먹이 섭취 감소
→ 성장 둔화
집단폐사 위험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