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고...생각하는...

옥덩굴(바다포도)

예박이아빠 2025. 6. 26. 22:02

 

아열대 지표종이란?

 

아열대 지표종(subtropical indicator species)은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과 생태계 변화를 반영해

특정 지역에서 새롭게 등장하거나 확산되는 생물종입니다.

 

이 종들은 해양 아열대화(난대→아열대)를

가늠하는 생물학적 지표로 활용됩니다.

 


 옥덩굴(바다포도, Caulerpa lentillifera)

구분 내용
학명 Caulerpa lentillifera
국내 명칭 옥덩굴, 바다포도
생김새 포도알 같은 구슬 모양의 엽체가 줄기에 달려 있음
서식 환경 수온 20~30℃, 햇빛이 잘 드는 얕은 바다, 모래나 암반 위
원산지 남태평양, 동남아 등 아열대 해역
식용 여부 가능 (일본·필리핀·베트남 등에서 고급 해조류로 인기)
국내 도입 전남 해역, 제주 등지에서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등장
 

생태학적·산업적 의미

 

기후지표:

기존 해역에 없던 옥덩굴이 번식

국내 연안 아열대화 진행 중

 

식량자원:

고영양, 저칼로리 해조로

고부가가치 수산물로 각광

 

양식 가능성:

친환경적이고 빠른 성장으로

친환경 스마트양식 후보종

 

해양생태계 변화 감지:

토착 해조류(모자반 등)와의 경쟁 우려도 있음


향후 전망

 

국내 자원화 연구 활성화:

전남, 제주 해역 중심 시범 양식 확대

 

기후변화 대응 모델: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중심으로

지표종 기반 해양 생태전략 수립

 

신해조산업:

식품·화장품·헬스케어 소재로 산업 확장 가능

 

해양 생물다양성 연구 기회:

기존 생태계 내 정착 여부 모니터링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