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고...생각하는...

완벽주의자 vs. 최적주의자

예박이아빠 2023. 1. 29. 09:05

완벽주의자(perfectionist) vs. 최적주의자(optimalist)

 

Tal Ben-Shahar 교수 책을 읽다가새롭게 인식하게 된 개념이다.

 

 

완벽주의자는 현실을 거부하고, 

현실의 자리에 자신만의 환상을 채워넣는다고 한다.

이에 반해, 제시하는 최적주의자는

현실을 수용하여,

현실에서 약간의 실패와 눈물은 피할 수 없으며,

성공은 달성 가능한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된다고 믿는다.

 

최적주의자(optimalist) 완벽주의자(perfectionist)
실패를 받아들인다.
고통스러운 감정을 받아들인다.
성공을 받아들인다.
현실을 받아들인다.
실패를 거부한다.
고통스러운 감정을 거부한다.
성공을 거부한다.
현실을 거부한다.

자료: 탈벤-샤하르. (2010). 하버드대 52주 행복연습, 위즈덤 하우스. p.74.

 

최적주의자라는 개념을 몰랐을 때에는

단순히 현실을 받아들인다는 것을

현실과 타협한다는 부정적 어휘로 인식했었다.

 

 

하지만 짧은 삶을 살아보니,

우리의 삶은 우리가 통제하지 못하는 것들이 정말 많다.

완벽한 삶으로 묘사되는 직업, 부, 가족관계 등

우리의 노력에 따라 달성가능한 부분도 있지만,

모두가 달성가능하지 않다.

또한,

완벽한 삶이 꼭 행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직장에서 처음 일을 하게 되었을 때를 생각해 본다.

절실하게 원했고, 꼭 입사하고 싶었다.

실제로 그 꿈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어느덧 다음 단계를 바라 보고 있었다.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싶었다.)

만족하지 못했고,

이 성과에 대해서 스스로 인정하지 않았다.

 

 

다음 단계를 지향하는 것은 자기발전의 욕구이자,

행복의 길일 수 있지만,

그것이 다음 직장이었을 때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내가 수용할 수 있고, 통제할 수 있는 범위에서 벗어나

누군가로부터 선택 받기 위해 눈치 봐야 하는 삶을 

스스로 원하는 아이러니가 탄생한다.

 

 

얼마전 한 지인과 짧은 대화를 나눴다.

"OO에 좋은 자리가 났던데 왜 지원하지 않았나요?"

 

놀랍게도 내 대답은..

 

 

"지금 직장에서 만족합니다.

제가 하려는 일을 모두 할 수 있고,

제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도 누릴 수 있습니다."

 

 

최적주의자 개념을 알지 못했지만

지난 시간 동안 행복한 순간을 살아가려는

작은 노력이 결실을 맺어,

지금 이 순간에 만족하고,

내가 행복하고, 가족과 함께 누리며,

이웃, 지역사회, 국가, 세계 발전에 기여하는 

만족을 누리려는 모습으로 성장했다.

 

 

그리고 그 성장의 과정에서 

최적주의자(optimalist)라는 멋진 개념을 알게 되어,

보다 구체적인 업그레이드 전략을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