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10분 혁명 중 결단력 08
2013. 1. 28. 아침사색
돈이 없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고 하는 사람은 돈이 있어도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 고바야시 이치조 : 한큐 그룹 창시자
사실 맞는 얘기이다.
돈이 없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는 사람은
돈이 있어도 아무것도 못한다.
시간이 없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는 사람은
시간이 있어도 아무것도 못한다.
아이디어가 없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는 사람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아무것도 못한다.
결국 결단력 중 구체적으로 실행력(실천)의 문제이다.
사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상기 문제의 딜레마를 경험한다.
변해야 한다고 느끼지만 변하기 쉽지 않다.
첫 발을 내 딛기 힘들어서 그럴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첫째, 두려움때문이다.
한 번도 해보지 않은 것에 대한 두려움이다.
나의 경우도 새벽공부를 하고 출근을 하겠다는 다짐을 했다.
일하는 공간은 아니지만 서울에 있는 사무실에서
공부를 하면 딴생각할 것 같아서
도서관에서 공부하기를 희망했다.
도서관에 새벽에 가 본적이 없으니 막연히 잘 될 것이라고만 추측했다.
2005년 이후에 가본적이 없으니..
시대가 바뀌었으니 도서관도 완전 바뀌었다.
노트북 전용석은 생겼으나 키스킨을 사용해야만 했다.
비록 첫날 공부시간의 40분 가량을 그것 때문에 압박 받았지만
결국 자리를 사무실로 옮기면서 일단락되었다.
만약 새벽공부하기로 마음만 먹고 언젠가 해야지...라고 미루기만 했다면
-사실상 새벽에 도서관에 한 번도 안나가본 것에 대한 두려움이 조금 있었다.-
학생신분도 아니고... 엄밀히 말하면
안성캠퍼스 강사인 내 신분 상 문제가 컸다.
둘째, 여유가 없다.
생각을 안해본 것이다.
어떻게 하면 돈을 모을지, 시간을 확보할지,
아이디어를 분출시킬 지 등등...
자신에게 없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모으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이다.
돈이 없다면 어떻게 하면 돈을 모을까 고민해야 하고,
시간이 없다면 어떻게 하면 시간을 확보할까 고민해야 한다.
아이디어가 없다면 어떻게 하면 아이디어를 생성할지 고민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일상의 사이클에 맞춰 살다보니 바쁘기 그지 없는 삶을 산다.
TV를 단 20분이라도 본다면 그 시간을 써보거나
아침저녁 출퇴근 시간에 일부만 할애하더라도 얼마든지 여유가 생길 것이다.
돈이 없다면 우선 내 지출현황, 줄일 수 있는 영역, 향후 예상되는 고정지출 등을 감안한
새로운 재정계획을 세우고 실천해봐야 한다.
금융기관을 자주 이용해보고 매일 조금씩 정보를 구체화시키는 노력을 하면 좋을 것이다.
시간이 없다면 TV, 인터넷시간, 과다한 수면시간을 조절하면 충분히 확보될 것이다.
(특히 책 읽는 시간이 없는 경우)
셋째, 자주 잊어버리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생각, 결심이라도
자주 잊어버리는 데에는 방도가 없다.
인간의 뇌는 잊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한 번 들어온 정보는 평생 유지가 되지만
그 정보에 접속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그 정보에 접속하기 쉽도록 하려면 자주 그것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황농문 교수의 몰입이라는 책을 보면,
하루 종일 한 문제에 대해서 몰입하여 생각하면
뇌에서 이 문제를 반드시 풀어야 겠다는 긴장감이 생겨
자는 동안에는 문제의 정보를 재정리하게 되고
2~3일 지속하게 되면 결국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떠오른다고 한다.
당연히 뇌에서도 그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서 노력할 것이며,
긴장하며 접수된 정보이기 때문에 기억력이 오래 갈 수 밖에 없다.
매일 책 읽어야지, 절약해야지, 운동해야지 하며 기억을 구체화시키면
이 문제도 어느정도 해결이 가능할 것이다.
넷째, 구체적인 액션플랜이 없다.
좋은 아이디어, 여유, 자주 기억 모두 했다면
이제는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짜야한다.
돈을 모아야 한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단계를 밟아야 하는지..
예를 들어 30분 이내의 거리는 마을 버스 타지 않고 운동삼아 걸어보겠다던지..
마을버스로만 왕복해도 매일 1,500원(2013년 현재 기준)의 비용이 발생한다.
1,500원씩 5일만 이용해도 7,500원이다.
5주 생활하면 37,500원이고 1년(52주) 기준으로 390,000원의 지출이 발생한다.
조금 일찍 나와서 마을버스 타는 시간, 비용만큼 두 다리에 투자한다면
연간 39만원을 절약하는 셈이다.
문제는 자신이 하고자 하는 도전과제에
구체적인 액션플랜s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 가지의 액션플랜만으로는 어려울 수 있으니
단계적으로 액션플랜을 짜보고
실천하면 분명 성과가 있을 것이다.
돈이 없어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사람은 돈이 있어도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 오늘의 과제
나는 정상을 목표로 새로운 위험에 도전한 의지와 용기를 가지고 있다.
오늘 새로운 도전을 추가하겠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일이다.
'생활의발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형인간과 새벽형인간에 대한 단상 (0) | 2013.01.29 |
---|---|
영웅과 범인의 차이 (0) | 2013.01.29 |
왜 해야할 공부를 미루는가? (0) | 2013.01.25 |
내가 바라는 나의 40대의 모습 (0) | 2013.01.24 |
아침고요 사색 (0) | 201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