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23.(주일) 복음
루카복음 6,27-38
예수님의 가르침:
원수를 사랑하고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이 말씀은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하신
사랑과 자비, 용서의 원칙을 담고 있는 중요한 가르침입니다.
단순한 인간적인 도덕을 넘어,
하느님의 방식으로 살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1. 원수를 사랑하라 (27-28절)
예수님께서는 단순히 친구나 가족을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원수까지도 사랑해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미워하는 사람들에게 잘해 주고,
저주하는 사람을 축복하며,
학대하는 자를 위해 기도하라고 하십니다.
이는 세상의 가치와 정반대되는 가르침으로,
인간적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우나,
하느님의 사랑과 자비를 실천하는 길입니다.
우리를 힘들게 하는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고,
미움을 사랑으로 바꾸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2. 보복하지 말고, 더 나아가 희생하라 (29-30절)
“네 뺨을 때리는 자에게 다른 뺨을 내밀어라.”
이는 단순히 폭력을 참으라는 의미가 아니라,
보복하지 않고 악을 선으로 이겨내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겉옷을 빼앗는 자에게 속옷도 내어 주어라.”
재산과 소유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사랑과 자비를 실천하라는 의미입니다.
“달라고 하면 주어라. 되찾으려 하지 마라.”
주는 것에 인색하지 말고,
진정한 나눔과 희생을 실천하라는 말씀입니다.
이기심을 버리고, 손해를 보더라도
사랑을 실천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3. 황금률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 (31절)
이 말씀은 ‘황금률(Golden Rule)’이라고 불리며,
기독교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윤리적 원칙으로도 인정받습니다.
내가 원하는 대로 남에게 먼저 베풀 때,
하느님의 사랑이 세상에 퍼질 수 있습니다.
내가 받고 싶은 만큼
다른 사람에게 베풀고 배려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4. 죄인들과 다르게 살아라 (32-34절)
죄인들도 자기에게 잘해 주는 사람을 사랑한다.
그리스도인은 죄인들과 달라야 하며,
더 큰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도로 받을 가망이 없는 이들에게 꾸어 주어라.
아무 대가를 바라지 않고
선행을 베푸는 것이 참된 사랑입니다.
우리는 조건 없는 사랑을 실천하며,
이기적인 거래 관계를 넘어서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5. 원수를 사랑하면 하느님의 자녀가 된다 (35-36절)
하느님께서는 악한 사람에게도 자비로우신 분입니다.
우리가 원수를 사랑하고 자비를 베풀 때,
지극히 높으신 분의 자녀가 될 것입니다.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하느님을 닮아,
우리가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강력한 가르침입니다.
하느님의 사랑과 자비를 실천하는 것이
참된 신앙인의 모습입니다.
6. 심판과 용서에 대한 가르침 (37-38절)
“남을 심판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심판받지 않을 것이다.”
남을 쉽게 판단하고 비판하기보다,
이해하고 용서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용서하여라. 그러면 너희도 용서받을 것이다.”
용서하는 자만이 하느님의 용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어라. 그러면 너희도 받을 것이다.”
아낌없이 베푸는 사람이 결국 더 많은 은혜를 받습니다.
“너희가 되질하는 바로 그 되로 너희도 되받을 것이다.”
내가 남에게 한 행동이 그대로
나에게 돌아온다는 원리를 강조합니다.
남을 쉽게 판단하지 않고,
조건 없는 용서와 나눔을 실천하는 삶이 필요합니다.
예수님의 사랑과 자비를 실천하라
원수를 사랑하고, 보복하지 말고, 조건 없이 선행을 베풀라.
다른 사람을 심판하지 말고, 용서하는 삶을 살아라.
하느님의 자비로우심을 본받아, 우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야 한다.
남을 사랑하는 것이 곧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길이다.
'A-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님, 저는 믿습니다. 믿음이 없는 저를 도와주십시오. (0) | 2025.02.24 |
---|---|
지혜는 다른 모든 것에 앞서 창조되었다 (0) | 2025.02.24 |
우리가 흙으로 된 그 사람의 모습을 지녔듯이 하늘에 속한 그분의 모습도 지니게 될 것입니다 (0) | 2025.02.23 |
주님께서 임금님을 제 손에 넘겨 주셨지만, 저는 손을 대려 하지 않았습니다. (0) | 2025.02.23 |
너는 베드로이다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