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지구온난화지수(Low-GWP, Global Warming Potential)란,
특정 물질이 대기 중에서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이산화탄소(CO₂)를 기준(GWP = 1)으로 삼아,
다른 기체가 동일 질량일 때 얼마나 더 많은 복사열을 가두는지를 상대적으로 비교합니다.
1. GWP(Global Warming Potential)란?
어떤 기체 1kg이 대기 중에 방출되었을 때,
100년간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산화탄소(CO₂, GWP = 1)와 비교한 수치
CO₂: 1
메탄(CH₄): 약 28~30
아산화질소(N₂O): 약 265
HFC-134a (냉매): 약 1,430
SF₆ (절연가스): 약 23,500
2. 저지구온난화지수(Low-GWP) 물질의 의미
GWP 수치가 100 이하 또는 기존 냉매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인 물질을 지칭
주로 냉매, 발포제, 세정제, 절연가스 등에서 대체물질 개발의 기준 지표로 활용됨
고GWP 물질을 저GWP 물질로 전환 → 탄소중립·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핵심
3. 적용 사례 (냉매 중심)
냉매명 | GWP 수치 | 특성 |
R-410A | 약 2,088 | 고효율이지만 고GWP |
R-134a | 약 1,430 | 자동차 에어컨 등에서 사용 |
R-32 | 약 675 | 저GWP 대체냉매로 확대 중 |
CO₂(R-744) | 1 | 초저GWP, 친환경 냉매 |
암모니아(R-717) | 0 | 천연냉매, 단점은 독성 |
4. 관련 정책 및 규제 동향
몬트리올 의정서(Kigali 개정, 2016):
HFC류 고GWP 냉매의 단계적 감축에 합의
EU F-Gas 규제:
GWP 150 이상 냉매의 사용을 제한
대한민국:
「대기환경보전법」 기반 냉매 GWP 등급 분류 및 등록제 시행 중
저GWP 냉매 전환 지원사업 운영
항목 | 내용 |
지표 의미 | 기체의 지구온난화 기여도를 수치화한 지수 |
기준 | CO₂ = GWP 1 |
저GWP 정의 | 일반적으로 GWP 100 이하 또는 기존 대비 현저히 낮은 물질 |
주요 활용 | 냉매·절연가스 등에서 대체물질 선정 기준 |
목표 | 탄소중립, 기후변화 대응, 산업 전환 촉진 |
'공부하고...생각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트펌프 (0) | 2025.04.08 |
---|---|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 (0) | 2025.04.08 |
K·FISH, 대한민국 수산물의 이름으로 해외시장에 서다 (0) | 2025.03.27 |
한국형 스마트팜 (0) | 2025.03.24 |
스마트팜(Smart Farm)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