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트펌프
히트펌프(Heat Pump) 기술은 전기를 이용해
열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시스템입니다.
주로 냉방, 난방, 급탕에 사용되며,
최근에는 탄소중립·에너지 전환 시대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공기열·지열·수열 등 재생가능 에너지원을 활용해
고효율로 열을 생산할 수 있어 친환경 냉난방 기술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전기를 사용해 열을 저온에서 고온으로 이동시키는 기술
냉방, 난방, 급탕 기능 가능
냉매를 활용한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 구조
1) 고효율:
투입 전력 대비 35배 이상의 열 생산 (COP 35)
2) 저탄소:
화석연료 사용 없이 친환경 난방 가능
3) 재생에너지 연계:
태양광, 지열, 수열 등과 결합 가능
4) 다기능성:
냉난방 + 온수 기능 통합 운용 가능
주요 유형
유형 | 열원 | 특징 |
공기열 히트펌프 (ASHP) | 외기 | 설치 간편, 보급률 높음 |
지열 히트펌프 (GSHP) | 지중열 | 계절 영향 적고 효율 높음 |
수열 히트펌프 | 하천, 바닷물 등 | 대용량 열원 활용 가능 |
고온 히트펌프 | 산업 폐열 | 보일러 대체, 산업 공정 적용 가능 |
활용 분야
1) 건축물:
제로에너지건축물, 아파트, 학교
2) 산업 현장:
폐열 회수 및 중고온 열 공급
3) 농·수산업:
스마트팜, 양식장 온도 유지
4) 도시 에너지:
지역난방 시스템
5) 저온물류:
냉장창고 내 정온 유지 시스템 등
정책 및 시장 동향
EU·미국·일본:
탄소중립 전략에 따라 보일러 → 히트펌프 전환 가속화
한국:
공공건물 중심 보급 확대, 제로에너지건축 기준 강화
→ 신재생 설비 보조금, 고효율 인증, 보일러 교체 지원 등
'공부하고...생각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스케어 (1) | 2025.04.08 |
---|---|
고감도 물품 (0) | 2025.04.08 |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 (0) | 2025.04.08 |
저지구온난화지수 (0) | 2025.04.08 |
K·FISH, 대한민국 수산물의 이름으로 해외시장에 서다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