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제1차 혁신도시 건설(2005~2019년) 이후,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2022년부터 정부가 검토 중인 제2단계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입니다.
기존 혁신도시 외에도
지방대학·기업·인구감소 지역과 연계된
분산형 이전 전략이 특징입니다.
2. 추진 현황
2022.11: 대통령 지역균형발전전략회의에서
2차 이전 논의 공식화
2023~2024: 국토부·행안부 중심으로
이전 대상기관, 입지기준 마련 위한 기초조사 진행
2025년 이후: 순차적 이전 계획 발표 및 추진 예정
(정확한 일정·기관은 미확정)
3. 지연 원인
① 대상 기관 선정 난항
수도권 공공기관의 이해관계 반발
필수기관·규모가 큰 기관의 경우 이전 타당성 논란
② 지자체 간 유치경쟁 과열
동일 기관을 복수 지자체가 유치 신청
→ 조율 지연
③ 기존 혁신도시 성과 미흡 논란
1차 이전기관의 지역 기여도 및 연계 부족 지적
공공기관의 지역 정착 및 고용창출 효과 제한적
④ 행정절차·법적기반 부족
이전 근거 마련 위한 입법 미진
(예: 「공공기관 이전특별법」 등)
⑤ 정권 차원의 속도조절론
대선공약과 달리 정권 초기에는 재정투자보다
구조조정 기조 우선
4. 극복 방안
① 입지선정 기준의 객관성 확보
산업·대학·교통·정주여건 등 정량기준 공개
→ 이해관계 조율
② 혁신도시 중심에서 탈피
낙후지역, 비수도권 중소도시에 대한
분산형 이전 전략 추진
③ 민관협력형 이전모델 도입
이전기관과 지역 산업체·대학 간
협력거버넌스 기반 마련
④ 기회발전특구와 연계
세제감면, 규제완화 등 특례제도를 활용한
실질적 인센티브 제공
⑤ 공공기관의 기능조정과 연계
단순 물리적 이전이 아니라
지역 특화기능 부여 + 본부 기능 분산 추진
⑥ 사후관리제도 마련
정착률, 지역기여도 평가 등
사후 모니터링 체계 도입
5. 지자체별 주요 희망 유치기관 예시
(※ 언론보도 및 자치단체 발표 기준, 정부 확정 아님)
구분 | 유치희망기관 |
전북특별자치도 | 한국콘텐츠진흥원,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강원특별자치도 | 기상청,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충남 | 문화재청,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충북 | 한국산림복지진흥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경북 | 한국전력거래소, 한국에너지공단 |
경남 | 한국환경공단, 중소기업진흥공단 |
전남 | 한국농어촌공사,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제주특별자치도 | 항공안전기술원, 해양수산계열 기관 |
'공부하고...생각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무재선충병 (0) | 2025.05.01 |
---|---|
수리유산(水利遺産) (2) | 2025.05.01 |
친환경 산악관광진흥지구 (0) | 2025.05.01 |
인공지능(AI) 산업 (0) | 2025.05.01 |
난임치료와 종교 윤리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