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고...생각하는...

섬 지역 생활물류 운임 지원 사업

예박이아빠 2025. 6. 26. 20:18

섬 지역 생활물류 운임 지원 사업

 

육지에서 섬으로 배송되는 택배·생활물자에 대해

운송비 일부를 정부가 보조해 주는 제도입니다.

 

섬 주민들도 육지와 동일한 가격과 여건으로

택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공서비스형 물류 복지 정책입니다.


도입 배경

택배 사각지대 해소 필요:

섬 지역은 택배가 도달하지 않거나,

운임이 과도하게 높음

 

지역 간 물류 격차 해소:

도서지역은 물류 단절로 인해

생필품·소비재 접근성 열악

 

생활비 부담 증가 억제:

민간 택배업체가 추가요금을 부과함에 따라

소비자 부담 증가

 

국가 균형발전과 지역 주민 삶의 질 향상:

물류 접근권은

현대생활의 필수 요소로 부각


현황 (2024년 기준 요약)

지원 대상:

국가가 지정한 택배 불가·추가요금 발생 도서지역

 

지원 내용:

육지에서 도서지역까지의

택배비 일부 또는 전부 지원

 

시범 지역 운영 후 확대 중:

전남, 경남, 인천 지역 섬 중심으로 확대 추진

 

운영 주체:

해양수산부, 지방자치단체, 한국해운조합, 우정사업본부 등 협업


운영 방식

1단계(집화):

택배사나 물류업체가 육지 물류터미널에서 물품 수거

 

2단계(운송):

육지 → 연안항 → 선박 운송 → 도서지역 접안

 

3단계(배송):

지역 배송망(우체국, 협동조합, 마을택배 등)을 통해

가정까지 전달

 

지원금 구조:

택배 운임 중 섬까지의 해상운송비 일부를

정부가 보조

 

정보시스템:

디지털 물류 관리 시스템을 통해

비용정산 및 추적


향후 전망

지자체 맞춤형 모델 개발:

섬의 여건에 따라

생활물류 거점화 및 공동물류 확대

 

친환경 선박, 드론 등 도입:

물류비 절감 및 기후대응형 운송수단 확보

 

공공택배·협업모델 강화:

민간·우체국·지자체 간 협업 모델 지속 확장

 

이커머스 접근권 보장:

온라인 소비 패턴과 연계한

디지털 물류 플랫폼 필요

 

고령화·소형화 대응 배송 체계 확립:

1인 가구 증가 및 고령층을 위한

생활밀착형 서비스 강화


 

섬 지역 생활물류 운임 지원 사업의

1인당 지원 한도 및 세부 내역 예시

(지자체별로 다를 수 있음)


연간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

 

추가 배송비가 별도로 표기된 경우:

실제 지출한 전액 지원

별도 표기 없는 경우:

건당 최대 3,000원 지원


지역별 조건 차이

 

편도용 송장만 제공되는 경우(보내기):

일부 지역은 발송 건의 지원 한도를 20만 원으로 제한하기도 합니다


구분 지원 내용
지원 한도 연간 최대 40만 원
별도 표기된 배송비 실제 사용량 전액 지원
미표기 배송비 건당 최대 3,000원 지원
발송 제한 일부 지역은 발송 건의 연간 20만 원 한도 가능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희망하시는 지역(지자체) 공고 기준을 알려주시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더

 

'공부하고...생각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항: 국가어항, 지방어항, 어촌정주어항  (0) 2025.06.26
고수온  (0) 2025.06.26
연안어업  (0) 2025.06.26
친환경 수산물 생산지원 직불제  (1) 2025.06.26
포용과 조화의 정치  (1) 2025.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