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고...생각하는... 416

HS화성 (@1)

HS화성 동사는 1958년 9월 1일에 대구/경북지역 기반 토목건설업체로 설립되었으며, 1988년 9월 29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2본부(건축주택사/토목환경 사업본부), 9팀(사업개발팀, 건축견적팀, 업무팀, 토목영업팀, 환경영업팀, ENG사업팀, 정비사업팀, 마케팅팀, 기술개발팀), 1공장(PC철구공장)으로 구성됨.2024년도 종합시공능력평가액은 9,388억원으로, 전국 건설업체 중 시공능력평가 순위 47위를 기록함. 네이버증권. https://finance.naver.com/item/coinfo.naver?code=002460.  기준: 2024. 12. 11. 1. 재무 안정성시가총액: HS화성의 시가총액은 약 850억 원입니다. ​@부채비율: 2023년 12월 기준 부채비율은 약 66..

HS애드 (@6)

HS애드(035000) 동사는 1984년 5월 설립되었고, 2004년 8월 경영자문부문인 지투알, 광고사업부문인 엘지애드로 분할되었음.2023년 7월 주요 자회사인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애드와 주식회사 엘베스트를 흡수합병함에 따라, 소멸된 종속회사가 영위하고 있던 광고업으로 주요 사업이 변경되었음.광고 및 마케팅 관련 자회사들로부터 발생하는 경영관리용역수익과 배당수익등을 영업수익의 원천으로 하고 있으며, 정관상 지주회사업을 주된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음. 네이버증권. http://finance.naver.com/item/coinfo.naver?code=035000. 기준: 2024. 12. 13.​ 1. 재무 안정성시가총액: HS애드의 시가총액은 약 1,500억 원입니다. @​부채비율: 2023년 12월 기준..

HL홀딩스 (@5)

HL홀딩스  2014년 9월 동사와 만도로 인적분할하여 지주회사로 전환하고, 2015년 7월 종속회사인 한라마이스터를 흡수합병하여 사업지주회사로 전환하였음.자회사로부터 받는 배당수익, Halla 및 Mando 브랜드 권리에 대한 상표권 사용수익을 수취하며, 그룹 IT 센터의 제품 판매와 자동차 부품 판매, 유통사업을 영위함.2015년 계열회사인 한라로부터 그룹IT센터를 영업 양수하고, 2016년 한라아이앤씨를 흡수합병함. 네이버증권. https://finance.naver.com/item/coinfo.naver?code=060980. 기준: 2025. 3. 7.  ​1. 재무 안정성시가총액: HL홀딩스의 시가총액은 약 3,470억 원입니다.부채비율: 2023년 12월 기준 부채비율은 약 45.9%입니다...

영원무역

영원무역 2009년 7월 영원무역홀딩스와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음.약 40여개의 해외 유명 아웃도어 및 스포츠 브랜드 바이어들로부터 주문을 받아 OEM 방식으로 생산하여 수출함.아웃도어, 스포츠의류, 신발, Backpack, 특수기능 원단 등을 생산·수출하는 제조OEM 사업, 프리미엄 자전거와 스포츠용품을 유통하는 SCOTT 사업, 아웃도어 브랜드 제품을 유통하는 기타 사업부문으로 운영됨. 네이버증권. https://finance.naver.com/item/coinfo.naver?code=111770. 기준: 2024. 12. 16. ​1. 재무 안정성시가총액: 영원무역의 시가총액은 약 1조 8,700억 원입니다.​부채비율: 2023년 12월 기준 부채비율은 약 20.7%입니다.​유동비율: 2023년 ..

HD현대인프라코어 (@4)

HD현대인프라코어는 건설기계 및 엔진 분야에서 활약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1937년 조선기계제작소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 사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1937년 조선기계제작소로 설립. 한국기계공업('63), 대우중공업('76), 대우종합기계('00), 두산인프라코어('05)를 거쳐 2021년 7월 분할합병을 이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함.건설기계 부문에서 굴착기, 휠로더 등을, 엔진 부문에서 엔진, 발전기, A/S 부품 등의 제품을 판매 중임.건설기계 부문은 북미와 유럽 등 선진 시장에서는 채널 역량과 제품 경쟁력 강화 및 관리체계 효율화를 통해 성장을 추진하고 있음. 네이버증권. https://finance.naver.com/item/coinfo.naver?code=..

GS리테일 (@7)

GS리테일 전력 및 통신용전선과 케이블 판매를 목적으로 1971년 금성전공이라는 사명으로 설립되었으며, 두 차례 상호변경을 거쳐 2005년 GS리테일로 상호를 변경함.주요 사업은 소매유통업으로 편의점 GS25 등을 운영하며, 부동산 관련 개발 기획, 매각 등 부동산 개발과 상업시설 운영을 전문으로하는 부동산 개발업을 영위하고 있음.Digital Tech 진화, 소비형태 변화 등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GS홈쇼핑과의 합병을 완료함. 네이버증권. https://finance.naver.com/item/coinfo.naver?code=007070. 기준: 2025. 3. 4. ​1. 재무 안정성시가총액: GS리테일의 시가총액은 약 1조 3,795억 원입니다.부채비율: 2024년 9월 기준 부채비율은 약 6..

GS그룹

GS그룹은 에너지, 유통,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대기업입니다. 그룹의 지주회사인 ㈜GS를 중심으로 주요 계열사들의 재무 성과를 살펴보겠습니다. 동사는 2004년 7월 LG를 인적 분할하여 설립된 지주회사로서, 자회사로 GS에너지, GS리테일, GS스포츠, GS이피에스, GS글로벌, GS이앤알 등이 있음.사업부문은 가스전력사업, 유통, 무역, 투자 및 기타(호텔업, 프로축구 등)으로 구분됨.주식의 장부가액이 자산총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자회사로 GS에너지(주), (주)GS리테일 2개사가 있음. 네이버증권. https://finance.naver.com/item/coinfo.naver?code=078930. 기준: 2024. 12. 16. ​1. ㈜GS (지주회사)시가총..

F&F (@3)

F&F는 1992년 창립되어 MLB,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등의 대표 브랜드를 보유한 한국의 패션 기업입니다.  2021년 5월 인적분할을 통해 지주회사인 'F&F 홀딩스'와 패션사업 회사인 'F&F'로 분할되었습니다. ​ 에프앤에프(F&F)는 1992년 창립되어 MLB,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등의 대표 브랜드를 배출한 한국의 패션 기업임.2021년 5월 인적분할하여 지주회사인 ‘F&F 홀딩스’ 와 패션사업 회사인 ‘F&F’로 나뉘어졌으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혁신적인 패션 시스템으로 글로벌 브랜드를 육성함.중국에서의 MLB의 인기를 바탕으로 중국에서의 성장이 지속됨. 네이버증권. https://finance.naver.com/item/coinfo.naver?code=383220. 기준: 202..

CJ 제일제당 (@3)

CJ제일제당 설탕, 밀가루, 식용유 등의 소재식품과 햇반, 만두, 피자, 가정 간편식, 육가공 제품 등의 가공식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미국 냉동식품 가공업체 'Schwan's Company' 를 인수하고, K-Foods의 글로벌화와 현지화를 위해 '비비고' 브랜드를 국내 및 글로벌 대형 브랜드로 육성하고 있음.세계 최고 수준의 발효 및 정제 기술을 기반으로 사료첨가제(Animal Nutrition & Health)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네이버증권. https://finance.naver.com/item/coinfo.naver?code=097950. 기준: 2024. 12. 18. ​1. 재무 안정성시가총액: CJ제일제당의 시가총액은 약 3조 원 이상입니다.​부채비율: 2024년 4분기 기준 부채비율은..

오뚜기 (@3)

오뚜기 동사와 그 종속기업은 건조식품, 양념소스, 유지, 면, 농수산 가공식품 등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국내/외 주요 사업장에서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함.현재 안양, 대풍, 삼남, 포승 등에 제조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각 종속기업들은 파주, 음성, 고성 등에 제조시설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함.해외 사업장으로는 미국, 베트남, 뉴질랜드, 중국 등으로 판매/제조시설을 운영하고 있음. 네이버증권. https://finance.naver.com/item/coinfo.naver?code=007310. 기준: 2024. 12. 17.  1. 재무 안정성시가총액: 오뚜기의 시가총액은 약 1조 4,000억 원입니다.부채비율: 2023년 기준 부채비율은 약 65.2%입니다.유동비율: 2023년 기준 유동비율은 약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