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NA 백신은
유전정보를 담은 메신저리보핵산(mRNA, messenger RNA)을 이용해
인체 내에서 항원 단백질을 스스로 만들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입니다.
전통적인 백신이 항원 자체를 주입하거나 바이러스를 약화시켜 투여하는 방식이라면,
mRNA 백신은 항원을 만드는 ‘설계도’를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1. 작동 원리
백신 안에 들어 있는 mRNA는 바이러스의 특정 단백질(예: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를 담고 있음
이 mRNA는 지질 나노입자(LNP)로 보호되어 인체 세포 안으로 들어감
세포는 이 mRNA를 읽어 바이러스 단백질을 합성
만들어진 단백질은 면역계에 의해 "외부 침입자"로 인식되어 항체와 T세포 반응 유도
실제 바이러스가 침입했을 때 빠르고 강한 면역반응 가능
2. 주요 특징
1) 빠른 개발 가능:
유전자 서열만 알면 수주 내 백신 설계 가능
2) 바이러스 없이 제조:
감염 위험 없음
3) 정확한 표적 설정 가능:
특정 항원만 정밀 타깃
4) 플랫폼 기술로 확장성 높음:
다양한 질환에 적용 가능
5) 초저온 보관 필요:
안정성 유지 위해 영하 70℃ 등에서 저장 필요
6) 장기 안전성 평가 제한:
상대적으로 신기술이기 때문에 장기 데이터는 제한적임
3. 대표 사례
화이자(Pfizer)-바이오엔텍(BioNTech)
COVID-19 백신 (Comirnaty)
모더나(Moderna)
COVID-19 백신 (Spikevax)
4. mRNA 백신과 기존 백신의 차이점
항목 | mRNA 백신 | 기존 백신 (불활성/생백신 등) |
제조 방식 | 유전자 정보 전달 | 바이러스 자체 주입 |
감염 위험 | 없음 | 일부 위험 존재 |
개발 속도 | 매우 빠름 | 수년 이상 소요 |
면역 반응 | 강력, 세포면역 유도 | 항체 위주 반응 |
저장 조건 | 초저온 필요 | 냉장 보관 가능 |
5. 응용 가능 분야
1) 감염병:
독감, HIV, 지카바이러스 등
2) 암 치료 백신:
개인 맞춤형 종양항원 설정 가능
3) 자가면역질환, 희귀질환 등에서도 연구 중
4) 다가 백신:
하나의 mRNA 백신에
여러 항원 정보를 담아 다중 감염 예방 가능
'공부하고...생각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식품안전현대화법(FSMA) (0) | 2025.04.09 |
---|---|
Omni-channel(옴니채널) (0) | 2025.04.09 |
TradeLens (0) | 2025.04.09 |
선진국 식품안전 기준 (0) | 2025.04.09 |
의료용 대마 산업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