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고...생각하는... 487

갈등관리

1. 갈등관리(conflict management) 갈등관리는 개인, 집단, 조직, 사회 등에서 발생하는이해관계·가치관·의사결정의 충돌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적·체계적 과정입니다. 단순한 억제나 회피가 아니라 건설적 해결 및 조정을 목표로 함협상, 중재, 소통, 제도적 장치 등 다양한 방식 포함 2. 중요성 갈등은 피할 수 없는 사회현상이며,잘 관리하면 조정, 창의, 참여, 변화의 동력이 될 수 있음 반대로 방치되면불신, 단절, 분열, 폭력 등으로 확산 가능 정책, 조직, 지역사회, 기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갈등관리 역량이 경쟁력으로 작용3. 특징 다차원성:이해당사자, 자원, 가치, 시간축 등이 복잡하게 얽힘 감정과 논리가 혼재:합리적 이해뿐 아니라 감정적 요소가 강함 제도와 ..

피톤치드(Phytoncide)

1. 피톤치드(Phytoncide) 피톤치드(Phytoncide)는식물이 외부 병균이나 해충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방출하는 천연 항균물질입니다. ‘phyton(식물)’ + ‘cide(죽이다)’의 합성어 주로 침엽수(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등)에서 많이 분비됨 방향성 휘발성 물질로 공기 중에 퍼지며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침 2. 주요 효과 ①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 안정 피톤치드는 자율신경을 안정화시켜 심박수와 혈압을 낮추는 작용숲속 산책 시 기분 전환과 이완 효과 탁월(숲치유의 핵심 요소) ② 항균·항바이러스 작용 피톤치드는 세균·곰팡이 등 병원균의 성장 억제실내 공기 정화 효과, 면역력 강화에 도움 ③ 면역력 증진 NK세포(자연살해세포) 활성 증가→ 면역 기능 개선 ④ 숙면 유도 신경 ..

면세유 지원정책과 과제

1. 면세유 면세유는 농업, 임업, 어업, 축산업 등의 생산 활동에 사용되는 석유류 중, 각종 세금(교통에너지환경세, 교육세, 부가가치세 등)을 면제해주는 정부 지원제도입니다. 대표적인 면세유 종류:경유, 등유, 휘발유, 중유 등 「조세특례제한법」에 근거하여국가가 간접적으로 생산 비용을 낮춰주는 제도입니다. 2. 주요 특징 영세 산업 보호 목적→ 에너지 비용이 높은 농어촌의 생계안정과 자생력 확보 신청자격 필요→ 농업경영체 등록자, 어업면허 보유자 등 자격자에게만 공급 전용카드와 전용주유소 사용→ 불법 유통 방지를 위해 면세유 카드와 지정 거래처에서만 구매 가능 실사용량 기반 공급→ 작물 재배면적, 어선 톤수 등 기준에 따라 연간 공급량 차등 배정3. 지원정책 목적 생산비 절감 통한 경쟁력 강화 ..

다이옥신(dioxin)

1. 다이옥신 다이옥신은 염소를 포함한 방향족 유기화합물로,고온의 불완전 연소 과정에서 생성되는 대표적인 환경오염물질입니다. 대표적인 형태는 PCDDs(폴리염화다이벤조-파라-다이옥신)이며,유사한 독성을 지닌 PCDFs, 코플라나-PCBs 등을 포함해'다이옥신류'라고도 합니다. 2. 주요 특징 고독성:1g으로 수천 명에게 영향을 줄 수 있음(독성은 청산가리의 수백 배) 지속성:환경에서 분해되지 않고 장기간 잔류(POPs: 지속성 유기오염물질에 해당) 지용성:인체 지방조직, 동물 체내에 축적→ 생물농축 발생 무색·무취:눈에 보이지 않고 냄새가 없어노출 인지 어려움 비의도성 생성물:플라스틱·폐기물·산업 부산물 등에서고온 불완전 연소 시 발생3. 다이옥신의 주요 발생원 쓰레기 소각시설 산업체(금속제련, 펄..

고형연료제품(SRF)

1. 고형연료제품(SRF) 고형연료제품(SRF)은 폐기물 중 가연성 자원을 선별·가공하여 연료화한 고체형 연료입니다. 생활폐기물, 폐합성수지, 폐비닐,폐섬유, 폐고무 등을 파쇄·건조·압축해 만든 제품 석탄, 중유, LNG 등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연료로주로 산업용 보일러나 시멘트 소성로 등에서 사용됨 2. 주요 특징 폐기물 재활용형 에너지 자원 발열량 높음:4,000~6,000kcal/kg 수준 기존 화석연료 대비 저렴 형태 다양:펠릿, 플레이크, 브리켓 등 온실가스 감축 기여 가능성 있음3. 사용 제한 이유 및 문제점 ① 대기오염 우려 염소, 중금속, 미세먼지, 다이옥신 등유해물질 배출 가능 불완전 연소 시 환경 및 건강 위해 ② 품질 불균일성 원료 구성에 따라 발열량·유해물질 함량 차이 큼품질기준..

소나무재선충병

1. 소나무재선충병 소나무재선충병은 재선충(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이라는미세한 선충류가 소나무류에 침입해 수분과 양분의 이동을 막아 고사시키는 병해충성 수목병입니다. 일명 ‘소나무 에이즈’라고도 불림병원체인 재선충은 주로 북방수염하늘소(매개충)에 의해 전파됨 2. 주요 특징 전염 속도 빠름:한 마리의 매개충으로 수천 마리 재선충이 전파 감염 후 수개월 내 고사:특히 붉은빛으로 바래는 증상 기생 및 번식 방식:재선충은 수목 내에서 급격히 번식, 세포 조직 파괴 소나무과 대부분 피해:특히 소나무, 해송, 적송이 주요 피해 대상3. 발생 현황 국내 최초 발생:1988년 부산 금정산 2024년 기준: 전국 140개 시군구로 확산(특히 경남, 울산,..

수리유산(水利遺産)

1. 수리유산(水利遺産) 수리유산(水利遺産)은 전통적인 물 관리와 관련된 구조물, 기술, 지식체계로서,농업용수, 치수, 배수, 물길 조절 등을 위해 조성된 유·무형의 자산을 의미합니다. 예: 저수지, 수문, 수차, 수로,보(洑), 수차 설계 기술 등 국내에서는 전통 농업수리시설 또는농업유산, 세계관개시설유산(GIAHS/WHIS) 등으로분류되기도 합니다. 2. 특징 지역 공동체 중심의 운영→ 마을 단위의 협력과 규범에 의해 유지된 공동자산 지속가능한 자원 순환→ 자연지형·기후에 맞춘 친환경적 물길 설계 기술·문화의 결합→ 수리시설은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라민속, 제의, 경관, 생활문화와 연결 시간성과 누적성→ 수백 년에 걸쳐 유지·보수되며지역의 역사와 삶을 함께 반영3. 보존 현황 국가등록문화재 지정예..

제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1. 제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제1차 혁신도시 건설(2005~2019년) 이후,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2022년부터 정부가 검토 중인 제2단계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입니다. 기존 혁신도시 외에도지방대학·기업·인구감소 지역과 연계된분산형 이전 전략이 특징입니다. 2. 추진 현황 2022.11: 대통령 지역균형발전전략회의에서2차 이전 논의 공식화 2023~2024: 국토부·행안부 중심으로이전 대상기관, 입지기준 마련 위한 기초조사 진행 2025년 이후: 순차적 이전 계획 발표 및 추진 예정(정확한 일정·기관은 미확정)3. 지연 원인 ① 대상 기관 선정 난항 수도권 공공기관의 이해관계 반발필수기관·규모가 큰 기관의 경우 이전 타당성 논란 ② 지자체 간 유치경쟁 과열 동일 기관을 복수 지자체가..

친환경 산악관광진흥지구

1. 친환경 산악관광진흥지구 친환경 산악관광진흥지구는 산림청이 주관하여산지의 자연환경을 보존하면서도 지속가능한 산악관광을 촉진하기 위해 지정하는 특별관리구역입니다. 「산림휴양법」 및 관련 지침에 따라 지정무분별한 개발 대신 친환경 기반시설과 체험 콘텐츠를 유도하는 공공주도형 관광개발 전략 2. 가능한 사업 범위 친환경성과 공공성을 전제로다음과 같은 사업이 가능함 ① 친환경 기반시설 조성 산책로, 전망대, 모노레일, 전기차 도로 등 저탄소 이동수단생태관찰로, 휴식 공간, 친환경 주차장 등 ② 산악 체험 콘텐츠 개발 산림치유, 숲속 명상, 트레킹, 암벽등반 등안전·환경 기준을 만족하는 프로그램 야영장, 글램핑장 등 자연친화형 숙박시설 ③ 지역상생형 관광 인프라 지역 농특산물 체험·판매시설마을주도형 ..

인공지능(AI) 산업

1. 인공지능(AI) 산업 인공지능(AI) 산업은인간의 인지능력(학습, 추론, 판단, 인식 등)을컴퓨터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기술과 그 응용 산업 전반을 의미합니다.AI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데이터, 알고리즘,서비스가 융합된 디지털 융합산업의 핵심 축입니다. 2. 특징 데이터 기반:대용량 데이터 수집·학습을 통한 성능 향상 범용성(GPAI):제조, 의료, 금융, 교육, 물류 등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 지속 진화성:사용과 학습을 반복하며 성능 고도화 플랫폼 중심 생태계:클라우드, API, 모델 마켓플레이스 등플랫폼 경쟁 구조 윤리·안전 논의 동반:개인정보, 알고리즘 편향, 일자리 대체 등윤리적 쟁점 포함 3. 산업 현황 시장 성장:세계 AI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500조 원..